2025년 새해, 디딤씨앗통장이 새롭게 달라졌습니다! 보호대상 아동뿐만 아니라 기초생활수급 가구와 차상위계층 아동들에게도 더 폭넓은 기회를 제공하며, 자립을 위한 든든한 재정 기반을 지원하는 디딤씨앗통장의 모든 것을 자세히 안내해 드립니다!
내 손안에 서울
새해(2025년)부터 달라지는 "디딤씨앗통장" 주요 내용
| 기존 가입대상 ( ~ 2024) | 신규가입 대상 확대 (2025 ~ ) |
|
① 보호대상 아동 (양육시설.그룹홈 거주, 가정위탁 아동 등) ※ 서울시 희망클러스.꿈나래통장 등과 중복지원 금지 ※ 서울시 기초수급아동 신규가입 제외 |
① 보호대상 아동(좌동) ② 기초생활보장수급가구 아동 (생계.의료.주거.교육급여) ③ 차상위계층 아동 (차상위, 한부모가정) ※ 서울시 꿈나래통장과 중복지원 금지 |
| 지원인원: 3,207명 (2024년) | 지원인원: 44,682명(2025년) |
디딤씨앗통장이란
ⴰ 정부에서 운영하는 취약계층 아동 자산형성 지원사업
ⴰ 통장을 개설한 아동이 매월 저축하면 국가(지자체)가 월 10만원 내에서
1:2 매칭금을 지원.
신청기간
| 온라인 신청 | 방문신청 |
| 2025.01.03 ~ | 2025.01.06 ~ |
신청방법
ⴰ 거주지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신청하시거나 복지로에서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.
[복지로 온라인신청경로]
① 복지로 로그인
② 서비스 신청
③ 복지서비스 신청
④ 복지급여 신청
⑤ 아동청소년
⑥ 아동발달지원계좌(디딤씨앗통장)
내 손안의 서울
※ 연초 대규모 가입 예상으로 통장 발급까지 최대 3주 이상
소요될 수 있음.
지원대상
| 구분 | 내용 |
| 보호대상 아동 | 만 18세 미만의 아동복지시설 (아동양육시설, 공동생활 가정) 보호아동, 가정위탁 보호아동, 장애인생활시설 아동, 소년소녀가정 아동 |
| 기초생활 수급가구 아동 | 생계, 의료, 주거, 교육 급여, 차상위계층 수급가구의 만 0세부터 만 17세까지 아동 중 신규 선정하여 만 18세 미만까지 지원 |
| 기 가입 아동 중 가정복귀 및 탈수급가구 아동 | 보호대상아동이 가정회복으로 중도에 가정으로 복귀하는 아동도 계속 지원 기초생활수급가구 아동 및 차사위계층 가구 아동 또한 해당 가정이 수급자격 중지돼도 계속 지원 |
※ 서울시 꿈나래통장 가입자는 해지 후 디딤씨앗통장 가입가능.
처리절차
① 초기상담 및 서비스 신청
- 시군구에서 서비스 신청 접수
② 대상자 통합조사 및 심사
- 시군구에서 서비스에 대한 조사 및 심사 진행
③ 대상자 확정
- 시군구에서 서비스 지급을 위한 대상자 결정
④ 서비스 지원
- 시군구에서 대상자에게 서비스 지급
⑤ 서비스 사후 관리
- 시군구에서 서비스 제공 이후 대상자의 상황 관련사항 관리
적립 만기 후 사용방법
| 만 18세 이후 | 만 24세 이후 |
|
학자금.기술자격취득비. 취업훈련비.주거마련 등 자립에 관한 용도로 사용 |
용도 제한 없이 사용 가능 |
문의
| 전화문의 | 관련 웹사이트 | |
| 아동권리보장원 | 보건복지부 콜센터 | 보건복지부 콜센터 |
| 02-6454-8500 | 129 | http://www.129.go.kr |
Tags:
money
.jpg)

